|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업의 책임과 도전
21세기 들어 환경,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ESG)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경영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감소, 자원 고갈 등 글로벌 환경 위기는 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며, 동시에 새로운 기회와 혁신의 장을 열고 있습니다. 이제 기업은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넘어, 환경적 책임을 준수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합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전 세계 투자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ESG 경영에서 환경(E) 부문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을 중심으로 급격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 혁신과 자원 순환 전략은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동시에, 생물다양성 보전과 자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활용은 단순한 환경 보호를 넘어 기업의 장기적 성장과도 직결됩니다. 예를 들어, 네이처 포지티브(Nature Positive)와 같은 이니셔티브는 기업이 자연환경 복원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을 요구하며, 이는 단순한 규제 준수를 넘어 긍정적인 환경적 영향을 창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ESG 경영은 공급망 관리와 폐기물 자원화 같은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들은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폐배터리와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에 대한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발걸음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 과제는 단순히 기업 내부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없습니다. 정부와 국제사회,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한국 기업들 역시 글로벌 표준에 맞춘 ESG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시에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이 책은 ESG 경영의 다양한 측면과 사례를 통해 독자들에게 지속 가능한 경영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기업이 직면한 도전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들을 살펴보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비전을 함께 모색해 보길 바랍니다.
좋은 책으로 나올 수 있게 최선을 다했지만 미흡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은 양해를 바라며, 추후 나올 수 있는 수정사항 등에 대해서는 자유아카데미 홈페이지(www.freeaca.com) 자료실에 제공할 예정이니 참고하길 바랍니다.
본 원고 작성 과정에 기술적인 도움을 준 고려대 김건희 연구원, 그리고 생물다양성 기업 평가 관련 작업을 함께한 고려대 조유라(현 스탠포드대학교 소속), 박준희, 마헤시카 외 석박사 대학원생 등에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아울러, 평소 깊이 있는 통찰과 따뜻한 지도 편달로 방향을 제시해 주시는 PwC컨설팅 윤영창 파트너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1장 ESG 경영: 환경 부문 개요
0. Prologue
1. E(환경) 부문: 평가기관 동향
2. 환경 부문 핵심 이슈
3. 환경 부문 ESG 경영 전망
2장 ESG: Sustainability, SDGs & ESG
1.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개발
2. 환경사회지배구조(ESG)
3장 ESG: 기후리스크
1. 기후위기
2. 그린워싱
3. 주요 환경 이슈
4. Pure System
4장 생물다양성과 ESG 경영
1. 생물다양성의 정의 및 필요성
2. 토양 환경 이야기
3. 한국 정부의 생물다양성 비전 및 추진 전략
4. 생물다양성 협약, 법령 및 이니셔티브
5장 플라스틱과 순환경제
1. 탄소순환 소개
2. 지속가능한 소비
3. 플라스틱: 국제기구 최신 동향
4. 플라스틱을 위한 전략
6장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 평가
1.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 평가 방법론
2. 글로벌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 평가
3. Nature Positive by 2030
4. 국내 기업 현황 분석
|